Infrastructure

자주쓰는 리눅스 서버 명령어

duraboys 2009. 7. 15. 19:16
 
ls : 해당 디렉토리의 화일들을 보여줌. 도스의 dir과 비슷
 사용법 : ls (옵션)
  option
    -a : .(마침표)으로 시작되는 파일을 숨기지 않음. *참고로 .(마침표)로 시작하는 파일은 hidden 파일임. 
    -c : 수정된 날자의 정렬로 보여줌. 
    -i : 각 파일의 고유 숫자를 보여줌. 
    -l : 길게 열거된 형식으로 사용함. 
    -o : group 정보를 제외한 리스트 형식을 보여줌. 
    -r : 정렬된 역순으로 보여줌. 
    -s : 블록의 형태로 각 파일의 크기를 보여줌. 
    -S(대문자) : 파일사이즈 순서로 정렬함. 
    -t : 수정된 날짜 순서로 정렬함. 
    -u : 최근에 접속한 순서로 정렬함. 
    -1(숫자) : 한줄로 보여줌 

cp : 파일을 복사 한다. ms-dos 에서 copy와 기능과 동일. 
 사용법 : cp (옵션) [복사할 파일명 혹은 디렉토리] [대상 파일] 
  option 
    -a : -dpR의 기능을 합한 것임. 
    -d : 연결을 보존함. 
    -p : 속성을 보존함. 
    -l : 복사를 하는 대신 연결함 
    -s : 복사하는 대신 특정 링크를 만든다. 
    -u : 새롭게 갱신된 파일만 복사함. 
    -v : 작업된 내용을 보여줌. 

rm : 파일을 삭제 한다. ms-dos 에서 delete 기능과 동일. 
  사용법 : rm (옵션) 삭제할 파일명 혹은 디렉토리] 
  option  
    -f : 무조건 지움. 아무런 메시지를 나타내지 않는다. 
    -i : 어떤 작업을 하기 전에 무조건 메시지를 묻는다. 
    -r :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 디렉토리도 삭제한다. 
    -v : 작업된 내용을 보여줌. 

mkdir : 디렉토리를 만든다. ms-dos 에서 md 기능과 동일. 
  사용법 : mkdir (옵션) [디렉토리] 
  option
   -m : 퍼미션 설정을 함께함. 단, 777 모드는 불허. 
   -v : 작업된 내용을 보여줌.

mv : 파일 혹은 디렉토리를 만들거나 이름을 변경한다. 
  사용법 : mkdir (옵션) [소스 디렉토리 혹은 파일] [신규 디렉토리 혹은 파일] 
  option 
   -m : 퍼미션 설정을 함께함. 단, 777 모드는 불허. 
   -v : 작업된 내용을 보여줌. 

cd : 디렉토리 이동(도스의 cd와 같음)

chmod : 파일 혹은 디렉토리의 속성값을 설정함. 
  사용법 : chmod (옵션) [디렉토리 혹은 파일] 
  option
   -c : 퍼미션 설정 시 작업하는 내용을 출력함. 
   -v : 작업된 내용을 보여줌. 
   -R : 하위 디렉토리까지 같이 변경시
   * 참고 : ls -al 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-rwxr--r-- 와 같이 파일 앞에 속성값이 출력이 된다. 
      이것은 다음과 같이 해설할 수 있다. 
       r : 4 (읽기) |w : 2 (쓰기) | x : 1 (실행) 을 뜻한다.


du : 파일 혹은 디렉토리의 크기를 보여 줌. 
  사용법 : du (옵션) [소스 디렉토리 혹은 파일] 
  option 
   -a : 디렉토리가 아닌 파일의 쓰여진 줄수를 출력한다. 
   -b : bytes 의 크기로 출력함. 
   -c : 각 파일 및 디렉토리의 내부의 파일 각각의 크기를 출력함. 
   -k : kilobytes 로 출력한다. 
   -m : megabytes 로 출력한다. 
   -l : 파일 혹은 디렉토리의 셀 수 있는 크기를 출력함. 
   -s : 합계를 출력한다.

df : 총 하드 용량 체크 및 남은 공간의 크기를 보여줌
  사용법 : df (옵션)
  option
   -h :
   -b : bytes 의 크기로 출력함. 

passwd : 자신의 패스워드 바꾸기 
  사용법 : passwd 
  * passwd 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. 
  [shell@Server Name]$ passwd 
  [shell@Server Name]$ Changing password for user Your_ID 
  [shell@Server Name]$ (current) UNIX password: (현재 사용중인 비밀번호) 
  [shell@Server Name]$ New UNIX password: (새로 갱신할 비밀번호) 
  [shell@Server Name]$ Retype new UNIX password: (확인을 위한 재입력) 
  *주의 사항 : 새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은 특수부호가 포함된 8자 이상의 어려운 비밀번호이어야 함.

echo : 텍스트의 라인을 보여줌. (이건 자주 쓰지 않음 ㅡㅡ;;)
  사용법 : echo (옵션) [텍스트] 
  option
   -d : 새로운 라인의 끝을 출력하지 않는다. 
   -e : 아래의 \문자 의 내용을 가능하게 한다. 
   \a : alert (bell) 알림(소리) 
   \b : backspace 
   \n : 새로운 줄을 생성한다. 
   \t : 수평탭 기능. 
   \v : 수직탭 기능. 
   \\ : 백슬래쉬 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. 
   * 귀하의 홈디렉토리의 절대 경로를 알아보는 방법. 
   [shell@Server Name]$echo $HOME (반드시 대문자) 
   * 귀하께서 사용할 수 있는 경로를 알아보는 방법. 
   [shell@Server Name]$echo $PATH (반드시 대문자)

tar : 압축 또는 압축해제
  사용방법 : tar (옵션) [파일이름] [경로]
  압축 : tar -cvzf backup.tar.gz gnuboard
           (그누보드폴더에 있는 모든 내용을 backup.tar.gz 로 압축한다)
  압축해제 : tar -xvzf backup.tar.gz
           (backup.tar.gz 파일을 압축해제한다)

zip : 리눅스에서 zip 파일 압축 또는 압축해제
  사용방법 : zip (옵션) [파일이름] [경로]
  option 
   -r 서브디렉토리까지 압축
   -F 한글파일을 포함하는 압축
  압축 : zip -r -F backup.zip gnuboard
           (그누보드폴더에 있는 모든 내용을 backup.zip 로 압축한다)
  압축해제 : unzip backup.zip 또는 jar -xvf backup.zip
           (backup.zip 파일을 압축해제한다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