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pache 설치방법 보기 |
|
Apache 웹서버에 SSL를 적용하기 위해 아래 두 항목이 웹서버에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. - Openssl 암호화 라이브러리 |
|
| |
![]() |
먼저 SSL를 설치하고자 하는 웹서버에 openssl 라이브러리 설치상태를 find 명령어를 활용하여 아래와 같이 확인합니다. ![]() 위와 같은 값을 보인다면 openssl 라이브러리 모듈은 rpm으로 설치된것입니다. 만약에 경로가 /usr/local 아래 있다면 모듈은 소스로 설치된 것입니다. rpm으로 설치된 것이라면 rpm -qa 명령어를 사용하여 openssl-devel 설치여부도 함께 점검합니다. 버전에 따라 라이브러리 버전이 아래보이는 값과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. ![]() Openssl 은 암호화 처리를 위한 독립 모듈로 최신버젼으로 설치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
Openssl 과 마찬가지로 웹서버의 mod_ssl 설치여부를 점검합니다. Apache 웹서버는 두가지 방식으로 모듈설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 정적과 동적인 방식으로 정적으로 설치된 경우는 아파치의 재설치까지 요구되며 동적인 경우는 손쉽게 모듈 설치가 가능합니다. Apache 가 /usr/local 아래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확인합니다. 정적으로 설치된 mod_ssl 모듈확인 ![]() 동적으로 설치된 mod_ssl 모듈확인 웹서버에 설치된 모듈중 mod_so.c 를 먼저 확인후 동적으로 설치된 모듈중 mod_ssl.so 를 확인합니다.
Openssl 명령어를 이용하여 웹서버의 RSA키( 1024비트 암호화 )를 생성합니다. ( sslhanbiro.key 는 임의로 지정된 키값입니다. 원하는 이름으로 키를 생성합니다. ) 패스워드를 지정하게 됩니다. 이때 입력된 패스워드는 차후 여러차례 사용되므로 본인만이 알 수 있는 패스워드로 지정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. ![]() 이때 생성되는 개인키는 반드시 백업을 받아놓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생성된 키는 아래와 같이 확인이 가능합니다. 패스워드를 확인 하는데 이때는 키생성시 입력한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. 개인키 생성까지 완료되면 이제 CSR 생성을 하게됩니다. ![]()
*발급이 완료된 인증서는 재발급 또는 변경이 불가하므로 CSR 생성시 절대 주의 바랍니다. ☞ CSR ( Certificate Signing Request ) 이란? SSL 서버를 운영하는 회사의 정보를 암호화하여 인증기관으로 보내 인증서를 발급받게 하는 일종의 신청서입니다. CSR은 ASCII 텍스트 화일로 생성됩니다. CSR을 생성할 때 서버의 식별명을 입력하게 됩니다. 식별명은 각 서버를 공유하게 나타내는 이름으로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합니다. Country Name ( 국가코드) [] : KR State or Province Name ( 지역 ) [] : Seoul Locality Name ( 시/군/구 ) [] : Seocho Organization Name ( 회사명 ) [] : Hanbiro Inc Organizational Unit Name ( 부서명 ) [] : Linux Team Common Name ( 서비스도메인명 ) [] : www.hanbiro.com Email Address [] : hanbiro@hanbiro.com ☞ CSR 항목에 대한 설명 Country Name : 이것은 두 자로 된 ISO 형식의 국가 코드입니다. State or Province Name : 시 이름을 입력해야 하며 약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. Locality Name : 이 필드는 대부분의 경우 생략이 가능하며 업체가 위치한 곳를 나타냅니다. Organization : 사업자 등록증에 있는 회사명과 일치되는 영문회사명을 입력하시면 됩니다. Organization Unit : "리눅스 관리팀", "윈도우 관리팀" 등과 같이 업체의 부서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. Common Name : 인증받을 도메인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. 이 정보로 웹 사이트를 식별하므로 호스트 이름을 변경할 경우 다른 디지털 ID를 요청해야 합니다. 호스트에 연결하는 클라이언트 브라우저가 디지털 ID의 이름과 URL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합니다. ☞ CSR 항목 입력시 주의사항
↘ 위 주의사항을 유의하여 아래와 같은 절차로 CSR 생성을 진행합니다. ↘ 생성된 CSR 정보는 아래처럼 확인이 가능합니다.
생성된 CSR 을 출력하면 아래와 같은 base64 형식의 문서를 볼 수 있습니다. 이문서의 첫 줄 -----BEGIN … 부터 마지막 줄 -----END … 까지 복사하여 지정된 SSL 접수페이지에 복사하여 붙여 넣은 뒤
입력정보와 함께 전송하면 접수가 완료됩니다.
접수한 CSR 파일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다면 별다른 문제없이 인증서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. ① 인증서 서버에 복사 메일로 받은 인증서 파일을 압축을 해제하시면 AddTrustExternalCARoot.crt,UTNAddTrustServerCA.crt,
도메인.crt 3개의 파일을 보실 수 있습니다. ② 웹서버 환경설정 아파치가 설치된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conf 디렉토리내의 httpd.conf 파일의 복사본을 만들어 둡니다. httpd.conf 예문 [ 싱글 도메인일 경우 ]
![]()
[ 멀티 도메인일 경우 ]
![]() 1. <VirtualHost 127.0.0.1:443> 127.0.0.1 를 사용하는 장비의 아이피로 변경 ③ root 인증서 경로설정 ④ 웹서버 재실행 설정파일의 정상적인 수정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체크 ./httpd -t 초기 개인키 생성시 입력했던 패스워드를 기억하시고 계실겁니다. SSL 실행을 위해 패스워드를 물어보는데 이때 개인키 생성시 입력했던 패스워드를 입력하시면 SSL 웹데몬이 활성화 됩니다. ⑤ 웹서버 포트점검 아래와 같이 활성화된 데몬의 포트를 점검해 봅니다. ⑥ 웹서비스 동작상태 점검 인터넷 주소창에 https://사용도메인 와 입력후 해당 페이지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점검합니다. 페이지 하단을 보시면 열쇠 아이콘이 보이게 됩니다.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위와 같이 인증서 정보를 확인하실수 있습니다. |
'Infrastru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SL KEY 비밀번호 추가 제거 (0) | 2010.07.20 |
---|---|
리눅스에서 CPU, 메모리 정보 확인하는 방법 (1) | 2010.07.20 |
natsvc.exe (0) | 2010.07.17 |
Linux 기본 명령어 (0) | 2010.06.25 |
Linux 디렉토리 구조 (0) | 2010.06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