/var 
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수시로 변경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며. 이것은 각 시스템마다 
달라서 다른 컴퓨터와 네트웍을 통해 공유되거나 하는 일은 없습니다.
/var/catman 
포맷된 메뉴얼 페이지가 저장되는 곳. 메뉴얼 페이지의 소스는 보통 /usr/man/ man*에 있습니다. 일부의 메뉴얼 
페이지는 /usr/man/cat*에 미리 포맷된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며. 그외의 메뉴얼 페이지들은 처음 사용자가 불러서 볼 때 포맷이 되며 
이렇게 포맷된 것들은 /var/man에 저장되어서 다음에 볼 때에는 포맷되기 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.
(/var/catman의 파일들은 
흔히 임시 디렉토리들의 내용 이 삭제되는 것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삭제됩니다.) 
/var/lib 
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변경되는 파일들.
/var/local 
/usr/local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변동하는 데이터. /var/lock과 같은 적당한 곳이라면 
/var아래의 다른 디렉토리도 사용될수 있습니다
/var/log 
시스템의 로그가 쌓이는 
곳이며, 이곳은 상당히 중요한 곳으로 유심히 보아야 할 디렉토리이다. # ls /var/log/ 
/var/log/boot.log 
부팅시 시작된 데몬들에 관한 정보가 들어 있습니다. 
# cat boot.log | tail -10 
/var/log/cron 
크론의 
메시지를 기록합니다.
# cat /var/log/cron | tail -10
/var/log/dmesg 
부팅시 컴퓨터 초기화부분의 메세지가 기록되며, 마지막 부팅까지의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. 
LiLo: 부분 나온 
다음 부터 서비스 데몬 시작하기 전까지의 메세지가 기록됩니다.. bootup 메세지가 기록되므로 시스템이 부팅시 에러 유무를 확인 할수 
있습니다.
# cat /var/log/dmesg | head -10 
# cat /var/log/dmesg | tail 
-10
/var/log/secure 
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모든 기록이 저장되는 화일입니다.
# cat 
/var/log/secure | tail -10
/var/log/spooler 
mail이나 
뉴스 로그 화일입니다. 
/var/log/statistics 
send mail에서 사용하는 
로그 화일입니다. 
/var/log/xferlog 
ftp 엑세스 로그 화일입니다. 
# 
cat /var/log/xferlog | tail 
-5
/var/log/htmlaccess.log
아피치의 웹 엑세스 로그 화일로 rpm으로 
설치시 여기에 엑세스 로고가 쌓입니다.
/var/log/httpd/와 더불어 아파치와 관련된 로그 화일입니다. 
/var/log/maillog
send mail의 로그 화일로 사용자가 mail관련해서 접속할 
경우 이 화일에 기록됩니다. 
# cat /var/log/maillog | tail -3 
/var/log/wtmp 
로그인한 사람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화일 이며, 현재의 
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. last와 lastlog 라는 명령어로 화일의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. 화일 타입은 
data 이므로 이것을 cat 해보면 아마도 후회 할것입니다. 
# file /var/log/wtmp 
/var/log/wtmp: 
data 
/var/log/lastlog 
마지막에 로그인한 사람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
있습니다. 
** cat /var/log/lastlog 하지 마세요 ** 
(화일 타입은 아스키 화일인데 깨짐) 
/var/log/messages
시스템의 이상 유무에 관련있는 로그화일로 시스템의 이상유무를 
파악 할 수 있습니다. 
# cat /var/log/messages | tail -5 
/var/log/netconf.log 
netconf 명령어를 수행 후에 나타나는 로그 화일입니다. 
# cat netconf.log 
/var/log/maillog
send mail 엑세스 
로그 파일입니다.
# cat /var/log/maillog | tail -5 /
var/run 
다음번 부팅때까지 유효한 시스템에 관련된 정보를 담은 파일들. 
/var/run/utmp 
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가 들어있습니다.
** 
cat /var/run/utmp 하지 마세요 ** 
화일 타입은 data 이므로 이것을 cat 해보면 아마도 후회 할 것입니다.
# 
file /var/run/utmp
/var/log/wtmp: data 그외에 서버의 프로세스 id가 기록되어 
있습니다. # ls /var/run/ 
/var/spool 
mail, 뉴스, 프린터 큐, 
그밖의 대기 작업(queued work)을 위한 디렉토리들. 각각의 스풀은 /var/spool 아래에 서브디렉토리를 가지고 있어서 일례로 
사용
/var/spool/mail 
사용자에게 온 mail을 보관하는 디렉토리입니다. 
'Infrastru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레지스터 메모리 ECC 메모리 언버퍼드 메모리 (0) | 2010.03.19 | 
|---|---|
| 램디스크를 활용한 최적화팁 (0) | 2010.03.19 | 
| 윈도우상에 일어나는 event Error Code (0) | 2010.03.19 | 
| 레지스트리 Run* 실행 막기 (0) | 2010.03.19 | 
| 부팅에러 메시지별 원인 및 해결방법 (0) | 2010.03.19 |